디딤돌신혼부부대출로 주택 매매 후 1년도 안되서 이혼 제목 그대로입니다. 작년에 디딤돌신혼부부대출로 아파트 매매를 하였고 최근 매매한지 1년도

디딤돌신혼부부대출로 주택 매매 후 1년도 안되서 이혼

cont
제목 그대로입니다. 작년에 디딤돌신혼부부대출로 아파트 매매를 하였고 최근 매매한지 1년도 안되서 이혼을 하기로 하였습니다.그래서 지금 아파트를 최대한 빨리 매도하고 대출을 상환해서 남는 차익을 나누자고 이야기가 나왔는데알아보니 아파트 매매 후 1년 전에 다시 매도하면 양도소득세가 붙는다고 하네요.이런식으로 어떤 불이익이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좋은 질문이에요.

말씀하신 디딤돌 신혼부부 대출로 주택을 매입한 지 1년이 안 된 상태에서 이혼 후 매도하려는 상황이라면,

세금·대출·지원금·주택수 관련해서 여러 가지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래에 항목별로 정리드릴게요

1. 양도소득세 관련 불이익

▸ (1) 1년 미만 보유 시 세율 중과

1년 미만 보유한 주택의 양도세율은 70%,

**2년 미만은 60%**의 단기양도소득세율이 적용됩니다.

(보유기간 2년 이상이면 일반세율 6~45%)

✅ 예시

1억 원의 차익 발생 시 → 약 7천만 원 가까이 세금으로 나갑니다.

실제 남는 금액이 거의 없어지는 수준이에요.

▸ (2)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미충족

2년 이상 보유해야 1세대 1주택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1년 이내 매도는 비과세 불가, 무조건 과세 대상이에요.

2. 디딤돌대출 (신혼부부 특례) 관련 불이익

▸ (1) 이혼 시 ‘신혼부부’ 요건 상실

디딤돌 신혼부부 전용상품은 결혼상태 유지가 조건입니다.

**이혼으로 요건이 해제되면 ‘대출 조건 위반’**으로 간주되어 → 대출 상환을 요구(기한이익상실)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은행이 전액 즉시 상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2)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디딤돌대출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습니다.

따라서 빨리 갚아도 수수료 부담은 없습니다. (이건 다행이에요)

3. 기타 불이익 및 주의사항

▸ (1) 주택도시기금 대출 재신청 제한

디딤돌, 버팀목 등 기금대출을 이용 중 중도상환 후 3년 내 재신청 시 → “중도상환자 제한” 규정에 걸릴 수 있습니다.

특히 신혼부부 요건으로 받은 경우, 다시 결혼하더라도

일정기간 내에는 다시 신혼부부용 대출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2) 이혼 후 명의분할 시 주의

공동명의였다면 소유지분 양도 시에도 과세 대상입니다.

즉, 단순히 배우자에게 넘기더라도 증여세 또는 양도세 발생 가능.

4. 대안 또는 절세 전략

✅ 정리 요약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