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좀 드리겠습니다 중립적인분만 남들이 말하는 1찍이니 2찍이니 그런거 아니구요정치에 관심 없는 사람입니다.문득 궁금한게

정치 좀 드리겠습니다 중립적인분만

cont
남들이 말하는 1찍이니 2찍이니 그런거 아니구요정치에 관심 없는 사람입니다.문득 궁금한게 생겼는데 찾아보자기에는 편향된 정보들이 많은 것 같아서 여기에 질문 드려봐요.1. 북한은 우리의 주적인데, 문재인정부부터 주적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2. 윤석열정부시절 의사증원을 한다고 했을때 사람들이 반대 했던 이유가 뭐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고령화시대 + 서울 집중권이라 의사증원되면 좋다고 생각이 드는데 반대의 이유가 궁금합니다.3. 윤석열정부 + 이재명정부 둘 다 중국인 입국을 허용한걸로 알고있는데, 대다수의 국민들이 중국을 싫어하는걸 알면서도 고집한 이유가 무엇이죠?4. 정치인들이 특정성별,특정 나이대에 편향된 편가르기를 하는 궁극적인 이유가 뭐죠? 이슈를 이슈로 덮으려는건지, 그저 본인들 표 받을 생각인지 모르겠습니다.다시한 번 말씀 드리지만 어느쪽에 치우쳐있지 않구요,정치견들은 뒤로가기를 하던 답글 달지마세요

정치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중립적인분만 궁금하시군요.

1. 북한에 대해 정부가 '주적'이라고 명시하지 않는 이유는 보통 남북 관계의 복잡성과 국제적 외교 전략, 그리고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지향하는 정책적 방향 때문입니다. 문재인정부 당시 대북 화해와 평화정책을 추진하면서 '적'이라는 표현보다 평화와 대화의 가능성을 강조하려는 방향성을 택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정부가 북한을 적으로 간주하는 것보다 보다 실용적이고 평화 지향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의사 증원에 반대하는 이유는 일부에서 의료 인력 배치의 공정성, 의료 서비스의 질, 그리고 의료 인력 공급의 장기적인 효과 등을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지역별 의료 인력 불균형 해소를 위한 증원인데, 일부에서는 기존 의료 시스템에 과도한 부담이 가중되거나, 의료진의 과도한 업무 부담이 오히려 의료 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습니다. 또, 의사 수 증가가 결국 의료비 상승이나, 과도한 경쟁을 유발할 가능성에 대한 걱정도 제기되었죠.

3. 중국인 입국 허용 결정에는 여러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는데, 대체로는 경제적 이익과 외교적 고려, 그리고 코로나19 방역과 글로벌 이동성 회복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보고 있습니다. 많은 국민이 중국을 싫어하는 감정이 있더라도, 경제적 교류와 관광, 유학 등 다방면에서의 필요성을 고려해 정책을 고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국내 경제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 그리고 한중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입국 제한 완화를 선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정치인들의 특정 성별이나 나이대에 대한 편향적 발언은 주로 선거전 전략, 특정 표심 공략, 또는 자신의 정치적 이념을 강하게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곤 합니다. 일부는 특정 이슈로 관심을 집중시키거나 유권자들을 결집시키려는 목적으로 편가르기를 하기도 합니다. 또한, 정책적 공개토론 대신 감정적 호소를 통해 지지를 유도하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표심 확보와 선거 승리를 위해 일종의 '편가르기'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합니다.

이상은 일반적인 분석으로, 복잡한 정치 이슈는 다양한 배경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항상 여러 시각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