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계좌에 1800만원 까지 넣을수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제가 이번년도부터 연금저축계좌에만 1800만원을채우려고 하는데 세액공제가 900만원까지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1800만원까지 채우면 세금이 대충 얼마가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연간 세액공제되는금액만 넣게 되는게 더 효율적인지 답변부탁드려요
연금저축계좌 납입액과 세액공제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에 1,800만 원 납입 시 세금 계산
연금저축계좌에 연간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세액공제는 말씀하신 대로 특정 한도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현재 연금저축계좌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 원입니다. 만약 개인형퇴직연금(IRP)과 합산한다면 총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연금저축계좌에만 900만 원까지'라고 알고 계시다면, 이는 IRP를 포함한 합산 한도를 염두에 두신 것일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 혜택: 납입한 금액 중 세액공제 한도(예: 900만 원)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소득세율에 따라 13.2% 또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게 됩니다.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인 경우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인 경우 13.2%
예를 들어, 세액공제율이 16.5%이고 9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는다면, 900만 원 * 16.5% = 148만 5천 원의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시게 됩니다.
* 한도 초과 납입액 (900만 원) 처리: 1,800만 원을 납입하시더라도, 세액공제 한도(900만 원)를 초과하는 900만 원에 대해서는 해당 연도에 세액공제를 받지 못합니다. 이 금액은 납입 시에 추가로 세금이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연금으로 수령하실 때 비과세됩니다. 즉, 세액공제 혜택은 없지만, 노후에 연금을 받을 때 세금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800만 원을 납입하시더라도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바로 추가적인 세금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인출 시 비과세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연간 세액공제되는 금액만 납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
단기적인 세금 혜택만을 고려한다면, 연간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납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년 가장 큰 세액공제 혜택을 받아 당장 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노후 자금 마련과 투자 수익, 그리고 인출 시 세금까지 고려한다면,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하는 것도 충분히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과세 이연 효과: 연금저축계좌 내에서 발생하는 운용 수익에 대해서는 바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 때까지 과세가 이연됩니다. 이로 인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연금소득세: 연금을 수령할 때에는 일반 과세보다 낮은 연금소득세율(3.3%~5.5%, 지방소득세 포함)이 적용됩니다. 또한,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한 금액은 연금으로 수령 시 비과세되기 때문에, 인출 시 세금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세액공제 효과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시면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납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여유 자금이 있고 장기적인 노후 자금 형성 및 인출 시 세금 효율까지 고려하신다면, 세액공제 한도를 넘어 1,800만 원까지 납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재정 상황과 노후 계획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