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계좌에 1800만원 연금저축계좌에 1800만원 까지 넣을수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제가 이번년도부터 연금저축계좌에만  1800만원을채우려고 하는데

연금저축계좌에 1800만원

cont
연금저축계좌에 1800만원 까지 넣을수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제가 이번년도부터 연금저축계좌에만  1800만원을채우려고 하는데 세액공제가 900만원까지로 알고있습니다, 그럼 1800만원까지 채우면 세금이  대충 얼마가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연간 세액공제되는금액만 넣게 되는게 더 효율적인지 답변부탁드려요 

연금저축계좌 납입액과 세액공제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에 1,800만 원 납입 시 세금 계산

연금저축계좌에 연간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세액공제는 말씀하신 대로 특정 한도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현재 연금저축계좌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 원입니다. 만약 개인형퇴직연금(IRP)과 합산한다면 총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연금저축계좌에만 900만 원까지'라고 알고 계시다면, 이는 IRP를 포함한 합산 한도를 염두에 두신 것일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 혜택: 납입한 금액 중 세액공제 한도(예: 900만 원)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소득세율에 따라 13.2% 또는 16.5%의 세액공제를 받게 됩니다.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인 경우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인 경우 13.2%

예를 들어, 세액공제율이 16.5%이고 9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는다면, 900만 원 * 16.5% = 148만 5천 원의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보시게 됩니다.

* 한도 초과 납입액 (900만 원) 처리: 1,800만 원을 납입하시더라도, 세액공제 한도(900만 원)를 초과하는 900만 원에 대해서는 해당 연도에 세액공제를 받지 못합니다. 이 금액은 납입 시에 추가로 세금이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연금으로 수령하실 때 비과세됩니다. 즉, 세액공제 혜택은 없지만, 노후에 연금을 받을 때 세금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1,800만 원을 납입하시더라도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바로 추가적인 세금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인출 시 비과세 혜택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연간 세액공제되는 금액만 납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여부

단기적인 세금 혜택만을 고려한다면, 연간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납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년 가장 큰 세액공제 혜택을 받아 당장 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노후 자금 마련과 투자 수익, 그리고 인출 시 세금까지 고려한다면,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하는 것도 충분히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과세 이연 효과: 연금저축계좌 내에서 발생하는 운용 수익에 대해서는 바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 때까지 과세가 이연됩니다. 이로 인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연금소득세: 연금을 수령할 때에는 일반 과세보다 낮은 연금소득세율(3.3%~5.5%, 지방소득세 포함)이 적용됩니다. 또한,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하여 납입한 금액은 연금으로 수령 시 비과세되기 때문에, 인출 시 세금 부담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세액공제 효과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시면 세액공제 한도에 맞춰 납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여유 자금이 있고 장기적인 노후 자금 형성 및 인출 시 세금 효율까지 고려하신다면, 세액공제 한도를 넘어 1,800만 원까지 납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재정 상황과 노후 계획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